블로그에 애드센스 코드를 넣고 나면 속도가 보통 느려지게 되는데, 이때 비동기 적 방식의 코드를 넣으면 속도가 봐줄 만 해진다.
비동기 적 (Asynchronous) 이란?
비동기 적 방식이란, 예를 들면 손바닥을 100대 맞는다고 한다면, 50대 맞고 또 50대 맞으면 부담스럽다. 그래서 50대 맞고 1대씩 50번 시간날때 맞는 것이다. 그러면 부담이 적고 100번째 맞을 때 끝이 난다. ㅋㅋ
애드센스 코드 적용 방법
애드센스 코드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 진다.
1. 광고 코드
2. 스크립트 코드
광고 코드는 건드리면 아니아니 아니되오!
그래서 스크립트를 바꾸어 주어야 한다.
첫번째! 광고 코드 넣기
애드센스 광고 코드는 <ins class ~> 로 시작해서 </ins> 로 끝이 난다. 이 부분을 <body> 와 </body> 사이에 넣고 싶은 자리에 넣는다. 구글 블로그의 경우 html/javascript 코드 넣는 위젯 을 만들어서 그 속에 집어넣고 저장을 하면 된다.
두 번째! 비동기 스크립트 코드 넣기
<!-- 애드센스 스크립트 --> <script async='async' src='//pagead2.googlesyndication.com/pagead/js/adsbygoogle.js'/> <script> jQuery(window).load( function() { var adn = jQuery(' .adsbygoogle' ).length; if (adn > 0) { for(var i=0; i< adn; i++) { (adsbygoogle = window.adsbygoogle || []).push({ }); } } } ); </script> <!--애드센스 스크립트-->
위 코드를 </head> 앞에 넣어주면 끝!
여기서 기억해야 할 것은, 광고 코드는 3개를 넣든 10개를 넣든 비동기 스크립트 코드는 </head> 앞에 1개만 있으면 된다!
댓글 없음